넹넹선생님 2022. 11. 1. 22:20
728x90
반응형

1. K번째 수
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
  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  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  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내 풀이: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answer = []
    for order in range(len(commands)):
        i = commands[order][0]
        j = commands[order][1]
        k = commands[order][2]
        answer.append(sorted(array[i-1:j])[k-1])
    return answer

Clean code:

def solution(array, commands):
    return list(map(lambda x:sorted(array[x[0]-1:x[1]])[x[2]-1], commands))

배울 점

나: commands의 길이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하지 못하기 때문에 for문을 써서 처음부터 끝까지 거쳐가도록 함

Upgraded:  map(lambda x: ,)를 통해 함수로써 commands의 모든 가짓수를 처리함

 

2. 가장 큰 수

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,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.

예를 들어, 주어진 정수가 [6, 10, 2]라면 [6102, 6210, 1062, 1026, 2610, 2106]를 만들 수 있고,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.

 

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내 풀이:

 

 

Clean code:

 

 

배울 점

 

3. H-Index

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1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 n편 중, 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 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 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

 
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
 

 

 

 

내 풀이:

 

 

Clean code:

 

 

배울 점

 

 

참고

: https://velog.io/@illstandtall/Programmers-1.-%EA%B8%B0%EB%B3%B8-%EC%9E%90%EB%A3%8C%EA%B5%AC%EC%A1%B0-%EB%B0%B0%EC%97%B4%EB%A6%AC%EC%8A%A4%ED%8A%B8-%EA%B8%B0%EC%B4%88-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-%EC%A0%95%EB%A0%AC-%ED%83%90%EC%83%89-%EC%9E%AC%EA%B7%80

728x90
반응형